어떻게 일상적 사고가 때때로 잘못된 결론에 도달하게 만드는가?
혹자는 심리학이 단지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을 전문용어로 포장하여 진술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우리 할머니도 알고 있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멋진 방법을 사용하고 돈을 받는단 말입니까?"
실제로 할머니의 상식은 맞는 것이기 십상이다. 전설적인 야구선수 요기 베라(1925~2015)가 말한 것처럼. 바라다봄으로써 많은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사람들은 누구나 행동 관찰자이기 때 문에. 많은 심리학 연구 결과를 예측하지 못하였던 것에 놀라게 된다. 예컨대, 많은 사람은 사랑 이 행복을 낳는다고 믿으며, 이 믿음은 옳다.
그렇지만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우연한 관찰이 제공한 할머니의 상식은 때때로 잘못된 것이다.
후속 장들에서 여러분은 어떻게 연구가 대중의 생각을 뒤집어버렸는지를 보게 될 것이다. 예컨대, 친숙함이 경멸을 초래한다거나 꿈이 미래를 예언한다거나 대부분의 사람이 단지 10%의 두뇌만을 사용한다는 등의 생각 말이다. 또한 연구가 두뇌의 화학물질이 기분과 기억을 제어하는 방식, 동물의 능력, 스트레스가 질병에 맞서는 능력에 미치는 효과 등을 찾아냄으로써 어떻게 사람들을 놀라게 만들었는지도 보게 된다.
어떤 것들은 단지 반복해서 듣기 때문에 상식적 진실처럼 보이기도 한다. 참이든 거짓이든 어떤 진술의 단순한 반복은 처리하고 기억해내기 쉽게 만들기 때문에 더욱 참인 것처럼 보이게 된 다(Dechane ct al, 2010: Fizio cr al, 2015), 따라서 기억해내기 용이한 오해(예컨대, "비타민C가 감기를 예방한다.")는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진실을 합도 한다. 친숙하며 제거하기 어려운 거짓의 위력은 정치꾼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비판적 사고자가 명심해야 하는 교훈이다.
소설가인 매들린 렝글(1973)이 천명한 바와 같이. 상식적 사고에서의 세 가지 보편적 현상인 후견 편향, 과신, 그리고 무선 사건에서 패턴을 지각하려는 경향성은 '무방비한 지성이야말로 이래 적이라고 할 만큼 부정한 도구'임을 예증해준다.
우리는 줄곧 알고 있었는가? 후견 편향
화살이 과녁판에 꽂힌 후에 그 과녁의 중심을 그리는 것은 얼마나 쉬운 일인지를 생각해보라. 주식시장이 하락한 후에 사람들은 하락이 '필연적'이었다고 말한다. 축구 경기가 끝난 후에 만일 경기에서 이겼다면 사람들은 감독의 용기 있는 작전'에 찬사를 보내며. 졌다면 '어리석은 작전을 비난한다. 전쟁이나 선거가 끝난 후에는 일반적으로 그 결과가 자명한 것처럼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는 일련의 필연적인 사건들의 연속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 미래를 정확하게 예견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어느 누구도 자신의 일기에 "오늘 백년전쟁이 시작되었다."라고 기록한 적은 없었다.
이러한 후견 편향(hindsight bizs)을 시험 보이는 것은 아주 쉽다. 한 집단의 절반에게는 어떤 결과가 심리학 연구의 내용이라고 알려주고, 나머지 절반에게는 정반대되는 결과를 제공하라.
첫 번째 집단에게는 "심리학자들이 헤어짐이 낭만적 매력을 약화시킨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속담에서 말하듯이,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멀어진다.”라고 말해주어라. 이 사실이 참인 이유를 상상해보도록 요구하라. 그렇게 하면 설명은 들은 후에 대부분의 사람은 이러한 실제 결과가 놀라울 것이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두 번째 집단에게는 "심리학자들이 헤어짐은 낭만적 매력을 강화시킨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속담에서 말하듯이.
떨어져 있으면 더욱 애틋해진다."라고 말해주어라. 사실이 아닌 이러한 결과를 받은 사람들도 이 결과를 쉽게 상상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결과를 놀랍지 않은 것으로 받아들인다. 두 가지 상반된 결과가 모두 상식처럼 보인다는 데
문제가 있는 것이다.
사람들의 회상과 설명에서의 이러한 오류는 심리학 연구가 필요한 이유를 보여준다. 상식이 일반적으로 들렸다는 것이 아니다. 상식은 앞으로 일어날 사건보다 이미 일어난 사건을 보다 쉽게 기술하기 때문이다.
800여 편 이상의 학술논문들은 전 세계 어디서나 남녀노소 모두에서 후견 편향을 보여주었다 (Roese & Vohs, 2012). 물리학자인 닐스 보어가 말한 것으로 알려진 것에 따르면, "예측은 매우 어렵다. 특히 미래에 관한 예측은 더 어렵다."
과신
사람들은 실제로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사실에 관한 질문(예컨대. "보스턴은 파리보다 북쪽에 위치하는가. 아니면 남쪽에 위치하는가?”)에 대한 답을 얼마나 확신하는지를 물었을 때, 사람들은 실제의 정확도보다 더 확신하는 경향이 있다.
오른쪽에 정답을 제시한 다음의 세 가지 단어 만들기 과제를 생각해보자(Goranson, 1978에서 98).
WREAT - WATER
ETRYN - ENTRY
GRABE - BARGE
여러분은 몇 초 내에 왼쪽 철자들을 재배열하여 오른쪽의 온전한 영어 단어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후진 편향이 여러분에게 영향을 미쳤는가? 답을 알고 있다는 사실은 사람들을 과신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정답을 찾아내는 데 단지 10초 정도가 걸릴 것이라고 말하겠지만, 실제로 평균적인 사람들은 3분(180초)을 소비한다. 여러분도 다음과 같이 정답을 모르는 단어 만들기 과제에서 그럴 것이다.
사회행동을 예측하는 데는 조금 더 우수하지 않을까? 심리학자 필립 테플록(1998, 2005)은 남 아프리카공화국의 미래 또는 퀘백이 캐나다에서 독립할지 여부 등과 같은 세계적 사건에 대한 27,000명 이상의 전문가 예측을 수집하였다. 그가 반복적으로 얻었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문가들이 평균적으로 80%의 확신을 보였던 예측들은 40% 이하의 정확도를 보였다. 단지 2%가량의 사람들만이 사회행동을 정확하게 예측한다. 테물룩과 가드너(2016)는 이들을 '슈퍼예측자'라 고 부른다. 슈퍼예측자는 과신하지 않는다. 어려운 예측에 직면하였을 때, "사실을 수집하고, 상충하는 주장을 비교하며, 답을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