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성취동기

by fire대니 2022. 12. 22.
반응형

성취동기란 무엇인가? 성취를 고취시키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심리학자 헨리 머레이(1938)는 성취동기(achievement motivation)를 의미 있는 성취, 기술이나 아이디어의 숙달, 제어, 높은 기준 등을 달성하려는 욕구로 정의하였다.
성취동기는 중요하다. 한 연구는 미국 캘리포니아 아동 중에서 지능검사 점수가 상위 1%에 해 당하는 1,528명의 삶을 추적조사하였다. 40년 후에 전문직업에서 가장 성공적인 사람과 가장 실패한 사람을 비교하였다. 연구자들이 발견한 것은 무엇이겠는가? 동기에서의 차이였다. 가장 성 공적인 사람은 야망이 있고 에너지가 넘쳐흐르며 인내심이 강하였다. 높은 성취동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재정적 성공, 건강한 사회관계, 우수한 신체 건강과 정신건강을 달성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에는 놀라울 것이 없다(Steptoe & Wardle, 2017).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다른 연구에서는 지능검사 점수보다 자율성이 학업성취와 출석 그리고 우등 졸업의 우수한 예측 요인이었다. 앤절라 더크워스와 마틴 셀리그먼 (2005, 2017)은 학업에 있어서는 "규율이 재능을 압도한다. "라고 결론짓고 있다.
규율은 재능을 탄탄한 것으로 만들어준다.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는 20대 초기에 이미 10,000시간 이상의 연습을 하고 있는데, 이 시간은 그저 음악 교사가 되려는 다른 바이올린 전공 학생의 연습 시간보다 두 배 이상 많다(Ericson, 2001, 2006, 2007). 뛰어난 학자, 운동선수, 예술가 등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를 보면, 모든 사람의 동기가 매우 높고 자율성이 강하며 자신의 목표를 추구하는 데 매일 상당한 시간을 기꺼이 할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Bloom, 1985).
더크워스(2016)는 야심만만한 장기적 목표를 향한 열정적 헌신에 불굴의 투지(grit)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다. 다른 연구자들은 이것을 성실이나 자기 제어와 유사한 의미로 받아들인다(Crede, 2018: Schmidt et al, 2018; Vazsonyi et al, 2019). 연구자들은 불굴의 투지의 신경 표지와 유전 표지를 탐색하기 시작하였다(Nemmi et al., 2016; Rimfeld et al, 2016; Wang et al, 2018), 열정과 끈기가 투지에 불타는 목표 추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이것이 뛰어난 성취를 가능하게만 들어준다(Jachimowicz et al., 2018; Muenks et al., 2018).
지능은 정상분포를 이루고 있지만 성취는 그렇지 않다. 이 사실은 성취가 단순히 능력만을 수 반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사람들의 성취동기를 끌어올리는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재미있는 과제에 보상을 약속하는 것은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지나친 보상은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즉 그 자체가 좋아서 어떤 행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려는 욕구를 훼손시킬 수 있다. 글 읽기에 대해서 장난감이나 과자(또는 돈이나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로 보상받은 아동에서는 글 읽기에 할애하는 시간이 줄어들었다(Marinak & Gambrall, 2008). 마치 " 이것을 하도록 매수해야만 한다면, 할 가치가 없는 것이 틀림없어!"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말이다.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 외적 보상을 얻거나 위협적인 처벌을 피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싶다면, 이 강의에서의 경험을 생각해보라. 대부분의 학생과 마찬가지로, 여러분도 좋은 학점을 원할 것이다. 그런데 무엇이 그 목표를 달성하려는 여러분의 행위를 동기화하는가? 정해진 시간 전에 모두 읽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는가? 성적을 걱정하고 있는가? 졸업을 위한 학점 채우기를 간절히 바라는가? 만일 그렇다면, 여러분은 외재적으로 동기화된 것이다(모든 학생이 어느 정도는 그러할 것이 확실하다.). 교재 내용이 흥미로운가? 공부가 유능 감을 더 많이 느끼게 만들어주는가? 학점이 걸리지 않았더라도, 교재의 내용 자체를 학습하고자 원할 만큼 호기심에 차 있는가? 만일 그렇다면, 내재적 동기도 여러분의 노력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는 것이다.
조직심리학자들은 평범한 일을 하는 보통 사람들을 동기화하고 일에 매진하도록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목표 설정
모든 사람은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에 기반을 둔 전략을 채택할 수 있다.
1. 확실한 다짐을 해라. 도전적인 목표는 성취하려는 동기를 유발한다(Harkin et al., 2016). 현명한(SMART) 목표는 구체적이고, 측정할 수 있으며, 달성할 수 있고, 현실적이며. 시의적절한 것이다. 그러한 목표, 예컨대 '화요일까지 심리학 보고서를 마무리한다'는 목표는 주의를 집중시키고 끈기를 자극한다.
2. 목표를 친구나 가족에게 공언하라. 공개적으로 천명한 후에 그 약속을 지킬 가능성이 더 높다.
3. 구현계획을 세워라. 언제 어디서 어떻게 목표를 향해 나아갈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라.
세부적인 계획으로 목표에 살을 붙이는 사람이 더 집중하고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Gollwitzer & Oetingen, 2012). 예컨대, 하루에 달리기할 목표와 같은 작은 단계에 집중하는 것이 마라톤 완주를 꿈꾸는 것보다 낫다.
4. 장기적 목표를 지원하는 단기적 보상을 만들어라. 지연된 보상이 목표를 설정하도록 동기화한다고 하더라도, 즉각적인 보상이 목표를 향한 인내심을 가장 잘 예측해준다(Woolley & Fishbach, 2018).
5. 진척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기록하라. 운동을 더 많이 하고자 애쓰고 있다면, 몸에 부착할 수 있는 운동 추적기를 사용하거나 운동 앱에 여러분의 활동을 입력하라. 진척 상황을 혼자만 알고 있는 것보다는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것이 더욱 분발할 수 있게 해준다(Harkin et al., 2016).
6. 지지적 환경을 조성하라. 건강식을 하고자 원한다면, 정크푸드를 찬장에서 없애버려라. 프로젝트에 집중하려면, 도서관에 파묻혀라. 잠을 잘 때는 휴대폰을 멀리 두어라. 체육관에 들고 가는 가방을 전날 밤에 챙겨놓아라. 이러한 상황적 자기제어 전략'은 유혹적인 충동을 예방해 준다(Duckworth et al., 2016; Schiffer & Roberts, 2018).
7. 행하기 어려운 행동을 해야만 하는 행동으로 변형시켜라. 특정 맥락에서 행동을 반복하면 습관이 형성된다. 행동은 맥락과 연합되기 때문에, 그 맥락을 다시 경험하게 되면 습관적 반응이 촉발된다. 무엇이든 매일같이 2개월가량 해보라. 그러면 몸에 밴 습관이 될 것이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의 기본개념 Part.1  (0) 2022.12.22
정서의 표현  (0) 2022.12.22
배고픔의 심리학  (0) 2022.12.18
수면과 꿈  (0) 2022.12.18
심리학의 연구윤리  (0) 2022.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