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18

성격과 정신역동 이론의 소개 Part.4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조망의 평가와 무의식에 대한 오늘날의 견해 오늘날의 심리학지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어떻게 바라다보는가? 오늘날의 연구는 프로이트의 많은 아이디어와 상충한다. 사람들은 21세기의 관점에서 프로이트를 비판한다. 오늘날의 견지와 비교함으로써 그의 이론을 비판하는 것은 포드의 모델 T(포드가 만든 세계 최초의 대량생산 자동차)를 테슬라 모델 3(테슬라가 출시한 최신 전기자)과 비교해서 비판하는 것과 같다. 그렇지만 프로이트의 신봉자와 비판자들은 최근 연구 결과들이 그의 세부 아이디어들과 상충한다는 데 동의한다. 오늘날 발달심리학자들은 인간의 발달이 아동기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평생에 걸쳐서 진행된다고 본다. 이들은 유아의 신경망이 프로이트가 가정하였던 것만큼 많은 정서적 외상을 파지할 수 .. 2023. 1. 1.
성격과 정신역동 이론의 소개 Part.3 방어기제 프로이트는 사람들이 어떻게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한다고 생각하였는가? 프로이트에 따르면, 불안은 문명화를 위하여 치러야 하는 대가이다. 사회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사람들은 성적 충동과 공격 충동을 제어하여 행동으로 표출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때로는 자아가 원초아의 요구와 초자아의 요구 사이에 벌어지는 내적 전쟁을 제어할 힘을 상실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휩싸이며, 그 결과로 초점이 없는 불안이라는 먹구름이 뒤덮게 되어 그 이유가 확실하지 않은 불안정한 느낌이 들게 만든다. 프로이트는 자아가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즉 현실을 왜곡시킴으로써 불안을 감소시키거나 방향을 다른 곳으로 돌리게 만드는 책략을 가지고 자신을 보호한다고 제안하였다. 프로이트에게 있어서 모든 방어기제는 간.. 2023. 1. 1.
성격과 정신역동 이론의 소개 Part.2 성격 구조 성격에 대한 프로이트의 견해는 무엇인가? 프로이트는 정서와 분투를 포함한 인간의 성격은 충동과 억제 사이의 갈등. 즉 공격적이고 쾌락 추구적인 생물 화적 충동과 이러한 충동을 제어하는 내면화된 사회적 제약 사이의 갈등에서 생겨난다고 믿었다. 성격이 이러한 기본 갈등을 해소하려는, 다시 말해서 죄책감이나 처벌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만족을 가져오는 방식으로 충동을 표현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갈등 중에 일어나는 마음의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프로이트는 세 가지 상호작용하는 체계, 즉 원초아, 자아, 그리고 초자아를 제안하였다(그림 11.1) 원초아(id)의 무의식적 정신 에너지는 생존하고 자손을 퍼뜨리고 공격하려는 기본 추동을 만족하게 하고자 끊임없이 시도한다. 원초아는 쾌락 원.. 2023. 1. 1.
성격과 정신역동 이론의 소개 Part.1 성격이란 무엇인가? 성격이란 무엇이며, 어떤 이론이 성격에 대한 이해를 알려주는가? 심리학자들은 성격(personalicy), 즉 사고하고 느끼며 행동하는 특정 패턴을 바라다보고 연구하는 다양한 방법을 가지고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은 아동기 성장과 무의식적 동기가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하였다. 인본주의 이론은 성숙과 자기 충족의 내적 능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후속 이론가들은 이러한 두 가지 광의적 조망에 바탕을 두었다. 특질 이론은 행동의 독특한 패턴(특질)을 다룬다. 사회인지 이론은 사고 패턴을 포함한 사람의 특질과 사회적 맥락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한다. 프로이트의 연구 그리고 그 뒤를 이은 오늘날의 정신역동 이론으로부터 시작해보자. 정신역동 이론 성격의 정신역동 이론(psych.. 2023. 1. 1.